병원, 미용실, 마트 등 낯선 공간에서 아이 적응 방법
1. 낯선 공간에서 불안은 아이의 방어적 반응입니다장애 아동은 익숙하지 않은 환경에서 특히 민감한 반응을 보일 수 있습니다. 병원의 차가운 조명, 미용실의 기계 소리, 마트의 소음과 인파 등은 아이에게 강한 감각 자극이나 예측이 어려운 상황으로 다가와 불안을 유발합니다.어떤 아이는 병원 대기실에서 갑자기 큰 소리를 지르거나, 미용실의 가위 소리에 울음을 터뜨리고, 마트에서는 복잡한 통로 속에서 자리를 이탈하려는 행동을 보이기도 합니다.이러한 반응은 단순히 ‘버릇이 없는 행동’이 아니라, 아이가 느끼는 강한 긴장감과 불안정성에 대한 방어적 반응입니다. 따라서 아이가 낯선 공간에서 어려움을 겪을 때는 행동 그 자체를 통제하려 하기보다, 그 배경에 있는 감각 자극, 낯선 환경, 예측 불가능한 요소들을 먼저 이..
2025. 5. 28.
장애 아동과의 외출 준비, 스트레스 줄이는 팁
1. 외출이 두려운 부모들, 어떻게 나갈지를 고민할 때입니다장애 아동과 함께 외출하는 것은 많은 부모에게 여전히 큰 숙제입니다. 단순한 산책부터 병원, 마트, 식당, 놀이공원 같은 장소까지, 장소와 상황이 달라질수록 변수는 더 많아지고, 그만큼 스트레스도 높아지기 마련입니다.아이가 갑자기 큰 소리에 반응하거나, 군중 속에서 불안해지거나, 예상치 못한 행동을 보일 때 부모는 순간적으로 당황하거나 주변 시선을 크게 의식하게 됩니다. 이로 인해 외출 자체를 줄이거나 피하게 되기도 합니다.하지만 외출은 아이에게 단지 ‘환경이 바뀌는 경험’이 아닙니다. 세상을 보고, 사람들과 마주치고, 감각 자극을 경험하며 사회성을 배우고 학습하는 중요한 기회입니다. 따라서 외출을 줄이는 것이 좋은 것이 아니라, 외출이 ‘부담’..
2025. 5. 27.
특수교육 대상 아동의 분류와 국가 지원 정책
1. 특수교육 대상 아동은 누구일까?특수교육은 단지 장애가 있는 아이들을 위한 교육이 아닙니다. 개별적인 학습과 발달의 차이를 가진 모든 아동이 교육의 기회를 평등하게 누릴 수 있도록 보장하는 제도입니다. 대한민국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은 ‘특수교육 대상자’를 13가지 유형으로 세분화하고 있으며, 이는 단순한 진단명이 아니라 교육적 지지와 지원이 필요한 특성을 기준으로 분류됩니다.특수교육 대상 아동은 다음과 같은 장애 유형으로 분류됩니다:① 지적장애, ② 자폐성장애, ③ 시각장애, ④ 청각장애, ⑤ 지체장애, ⑥ 정서및 행동장애, ⑦ 언어장애, ⑧ 학습장애, ⑨ 건강장애, ⑩ 발달지체(만 3세 이상 6세 미만 유아), ⑪ 다문화아동 및 특수교육 필요성 평가에 따라 지정된 아동.이들은 각각 인지,..
2025. 5.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