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장애 아동 부모를 위한 교육 및 심리 정보35

아이의 학교 부적응 부모가 할 수 있는 일 1. 아이의 어려움을 그대로 수용하는 것에서부터 학교생활에 잘 적응하지 못하는 아이를 보면 부모의 마음은 안타깝고 속상해집니다. 친구들과 잘 어울리지 못하거나, 수업 시간에 집중하지 못하거나, 낯선 환경에서 불안을 호소하는 아이를 볼 때 부모는 “왜 우리 아이만 이럴까?”, “내가 뭘 잘못했나?” 하는 자책감을 갖게 되기도 합니다. 하지만 아이가 학교생활에 부적응 하게 되는 이유는 매우 다양합니다. 단순히 ‘성격’ 때문이 아니라 학습 속도, 감각 예민성, 사회적 기술 부족, 기질적 특성 등 아이 고유의 발달적 특성과 관련된 경우가 많습니다.부모가 할 수 있는 첫 번째 단계는 아이의 어려움을 문제로만 바라보지 않고, 있는 그대로 이해하고 공감하는 것입니다. “우리 아이는 왜 이럴까?”라는 의문을 “우리 아.. 2025. 6. 7.
특수학교 vs 통합교육, 어떤 환경을 선택해야 할까? 1. 부모라면 고민이되는 교육 환경 선택장애 아동의 부모님이라면 “우리 아이는 특수학교가 더 맞을까? 아니면 통합교육이 좋을까?”라는 고민을 한 번쯤 해보실 것입니다. 아이가 학교에서 안정감 있게 배우고, 사회성도 기를 수 있도록 환경을 잘 선택하고 싶은 마음은 모든 부모가 같을 것입니다. 하지만 현실은 간단하지 않습니다. 자폐 스펙트럼 아동처럼 루틴과 구조화를 선호하는 아이에게는 예측 가능한 특수학교가 안정적일 수 있지만, 동시에 일반 또래와의 교류에서 제한이 될 수밖에 없다는 점이 고민거리입니다. ADHD 아동처럼 주의 산만하거나 활동량이 많은 아이는 또래들과 어울리며 배울 수 있는 통합교육의 장점이 클 수도 있지만, 수업 속도나 교사의 지원이 부족하면 오히려 소외감을 느끼거나 학습을 해나가는 것에 .. 2025. 6. 6.
장애 아동 개인의 맞춤형 공부 방법 1. 장애 아동의 학습 방식, 다름을 이해하는 것에서 시작장애 아동의 학습은 단순히 ‘느리다’거나 ‘못한다’의 문제가 아닙니다. 아이가 가진 인지적 특성, 감각 처리 방식, 언어 이해력, 사회성 발달 수준 등이 학습의 방식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예를 들어 자폐 스펙트럼 아동은 시각적 정보를 잘 받아들이는 반면, 언어적 이해 및 설명에는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부모나 교사가 이러한 차이를 이해하지 못한 채 일반적인 방식으로만 학습을 지도하면, 아이는 금세 좌절하고 학습에 대한 흥미를 잃게 됩니다.따라서 장애 아동에게 맞춤형 공부법을 적용하려면 먼저 아이의 학습 방식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학습 방식이란 단순히 눈으로 보느냐, 귀로 듣느냐의 문제가 아니라, 아이가 세상을 인식하고 정보를 처리하는.. 2025. 6. 4.
수면의 어려움이 있는 장애 아이를 위한 부모의 대응 전략 1. 아이의 수면의 어려움, 단순한 잠버릇 문제가 아닙니다수면장애는 많은 아이들이 겪는 문제 중 하나이지만, 특히 자폐 스펙트럼, ADHD, 불안장애 등을 가진 아이에게서 더 빈번하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아이가 잠들지 못해 뒤척이거나, 잠든 뒤에도 자주 깨서 울거나 짜증을 내면 부모는 밤마다 힘들고 스트레스를 받게 됩니다.많은 부모들은 처음엔 "그냥 버릇이겠지", "크면 괜찮아질 거야"라고 생각하다가, 아이의 밤샘 울음과 뒤척임이 길어지면서 큰 걱정과 피곤함을 느끼기도 합니다.하지만 아이의 수면장애는 단순한 습관 문제가 아닐 수 있습니다. 감각 과민, 뇌의 각성 시스템 불균형, 심리적 불안, 낮 시간의 활동 부족 등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얽혀 나타날 수 있습니다.아이의 수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2025. 6. 3.
자폐 아동의 식사 관련 문제 해결 방법 1. 자폐 아동의 식사 관련 문제, 단순한 편식이 아닙니다자폐 스펙트럼 장애(ASD)를 가진 아동에게서 식사와 관련된 문제는 매우 흔하게 나타납니다. 하지만 많은 경우, 이 식사 문제는 단순히 ‘입맛이 까다로운 것’이 아니라 감각 처리의 특성, 일상 루틴의 변화에 대한 불안, 또는 구강 운동의 어려움에서 비롯됩니다.예를 들어 어떤 자폐 아동은 음식의 색깔, 냄새, 온도, 질감 하나만 다르게 느껴져도 강하게 거부 반응을 보입니다. 딱딱한 질감을 혐오하거나, 반대로 바삭한 것만 먹으려는 식습관은 촉각 과민 또는 감각 추구 방식일 수 있습니다.또한 식사 시간의 변화나 새로운 식기의 사용도 아이에겐 예측 불가능한 스트레스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이런 특성을 이해하지 못하고, 단순히 억지로 먹이려 하거나 야단치게 .. 2025. 6. 1.
특수 아동을 위한 DIY 감정 표현 카드 만들어보기 1. 감정을 표현하기 어려운 아이, 말보다 그림이 도움이 됩니다장애 아동 중 많은 아이들이 감정 인식과 표현에서 어려움을 겪습니다. 특히 자폐 스펙트럼 아동, 지적장애 아동, 언어 지연 아동들은 자신의 감정을 말로 표현하거나 타인의 감정을 이해하는 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갑작스러운 감정 폭발, 거부, 자신감 저하와 같은 문제 행동이 나타나기도 하죠.이때 감정 표현 카드는 아이가 말이 아닌 ‘시각 정보’로 감정을 배우고 표현하는 데 효과적인 도구가 됩니다. 아이는 단어보다 그림에 먼저 반응합니다. ‘화남’이라는 단어보다 ‘화난 표정의 그림’이 더 쉽게 다가오고, ‘슬픔’을 얼굴 표정 카드로 보여줬을 때 더 잘 이해하게 됩니다.감정 표현 카드를 통해 아이는 자신의 감정을 인식하고, 이해하.. 2025. 5. 31.